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추냉이 과식은 위험하다? 와사비의 치사량이나 신체에 좋은 효과 해설

본문

반응형

고추냉이 과식은 위험하다? 와사비의 치사량이나 신체에 좋은 효과 해설

초밥이나 회 등을 먹을 때 맹활약하는 와사비.

쫀득쫀득한 매운맛이 중독성 있는 인기 양념이다.

그러나 그런 고추냉이는 과식하면 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기사는 고추냉이를 과식했을 경우의 위험과 고추냉이가 갖는 좋은 효과에 대해 소개한다.

고추냉이의 치사량과 효과를 알면 고추냉이의 매력을 재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1 고추냉이를 너무 많이 먹으면 위험하다?

고추냉이는 과식하면 다양한 건강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도대체 고추냉이를 너무 많이 먹으면 어떤 신체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 것일까?

고추냉이의 과식으로 인한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과식으로 인한 영향
고추냉이의 매운맛 성분에는 아릴 겨자유가 함유돼 있다.

이 아릴 겨자유는 강한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소화기벽이 자극돼 위산과다를 일으킴으로써 복통이나 설사 등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통상 고추냉이의 양을 섭취하는 만큼은 이런 위험은 없지만 한꺼번에 많은 양의 고추냉이를 입에 올릴 때는 주의해야 한다.


2 고추냉이 과식은 어느 정도 양일까?
매운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그만 고추냉이를 너무 많이 찍어 버린다.

도대체 와사비를 과식하는 것은 어느 정도의 양을 가리키는 것일까?

고추냉이의 치사량을 알면 그 위험성과 안전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릴칼라시유의 치사량
고추냉이에 함유된 매운맛 성분인 아릴칼라시유는 과식하면 위험하다고 소개했는데 아릴칼라시유는 치사량이 있어 과식은 생명의 위험으로도 이어지는 것이다.

아릴 겨자유의 치사량은 체중 1kg당 0.012cc로 알려져 있다.

고추냉이에 함유된 아릴 겨자유의 양을 0.1%로 가정하면 체중 50kg인 사람이 한꺼번에 600g의 고추냉이를 먹으면 치사량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한꺼번에 이 정도의 양의 와사비를 섭취하는 것은 좀처럼 생각하기 어렵다.

즉, 일반 요리의 양념으로서 와사비나 와사비를 사용한 가공품을 즐기는 만큼 치사량에 이른다는 것은 거의 생각할 수 없다.

고추냉이는 대량으로 섭취하면 위험할 수 있지만 통상적인 식생활에서의 섭취량으로는 그 위험을 걱정할 필요가 거의 없는 것이다.


3. 고추냉이를 적당량 먹었을 때의 효능
고추냉이는 적당량을 먹는 만큼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음식이다.

고추냉이가 가진 신체에 이점을 주는 효과를 소개한다.

 

▶신체에 긍정적인 효과
고추냉이는 갈아 사용함으로써 항산화 작용과 해독 작용, 혈류 개선 작용, 발암 억제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고추냉이를 갈았을 때 쫀득한 독특한 매운맛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라고 하며 높은 제균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것이다.

이 제균효과는 항균 곰팡이방지용품 등에도 활용되고 있으며 일용품 등에도 와사비 성분이 함유된 것이 많다.

또한 고추냉이는 피부미용 효과가 있다고도 알려져 있어 적당량을 먹으면 건강과 미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원래 와사비는 생선 냄새를 없애거나 세균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 초밥에 사용돼 온 역사가 있다.

고추냉이는 식중독을 막는 효과가 있다며 최근에는 도시락용품에 고추냉이 성분이 활용되고 있는 등 다양한 활용법이 모색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식품에 의한 항산화력은 파이팅케미칼로 불리며 식물이 각종 해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낸 매운맛, 끈적끈적 등의 성분을 말한다.

이들 파이팅케미칼은 신체에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성분이기도 하다.

 



고추냉이는 많이 섭취하면 신체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적당량을 먹으면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추냉이의 매운맛 성분에는 항산화 작용 등이 있어 건강과 미용에도 좋다고 한다.

와사비는 통상적인 식사의 양념이나 가공품으로서의 사용법이라면 대량 섭취에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능숙하게 와사비를 식생활에 활용해 와사비가 가지는 다양한 건강 효과를 도입해 보시기 바란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