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마스터

구충제 이버멕틴이 신종코로나19를 죽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눈길을 끌었다.

by 꿈해몽 천국 2020. 4. 6.
반응형

구충제 이버멕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세계에 퍼져 세계대공황 상태가 되었습니다.
국내에서 금리가 0%로 진입하여 코로나19가 진정되어도 경기회복은 당분간 힘들어 보입니다.
미국 식품의약첨의 승인을 받아 안전성이 입증된 구충제 이버멕틴이 신종코로나19 바이러스를 48시간 이내에 죽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눈낄을 끕니다.

 

Coronavirus illustration (stock image). Credit: © pinkeyes / Adobe Stock

 

호주에 위치한 모니쉬대학 생의학발견연구소의 카일리 왜그스태프박사는 세포배양된 코로나19바이러스가 이버멕틴에 노출되자 48시간내 모든 유전물질이 소멸 되었다는 실험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4일 보도했습니다.


이버멕틴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안전한 약이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아
얼마의 양을 투여해야 코로나19에 효과가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고 합니다.

이버멕틴은 코로나19와의 관계는 알수 없으나 타바이러스를 소멸하는 메커니즘을 보면 바이러스 숙주세포의 방어력에 타격을 줘 바이러스전파 차단을 하는 것을 왜그스태프 박사가 밝혔습니다.

 

출처-사이언스 데일리 

코로나19바이러스는 자연진화의 증거이다. 

오늘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게재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우한 시에서 등장한 소설 SA-CoV-2코로나 바이러스가 다량의 COVID-19전염병을 일으켜 70여개국으로 확산된 것이 자연 진화의 산물이라고 한다.
사스-CO-2와 관련 바이러스의 공개 게놈 염기 서열 분석은 그 바이러스가 실험실에서 만들어졌거나 다른 방법으로 조작되었다는 증거를 찾지 못 했다.
" 알려진 코로나 바이러스 변종에 대해 이용 가능한 게놈 서열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는 SA-CoV-2가 자연적인 과정을 통해 생성되었다는 것을 확실히 결정할 수 있습니다,"라고 ScrippsResearch의 면역학 및 미생물학 부교수인 KristianAndersen은 말했다.

안데르센 외에도,"사스-CO-2의 가장 가까운 기원"이라는 논문의 저자는 로버트 F를 포함하고 있다. 툴레인 대학의 게리 시드니 대학의 에드워드 홈즈;에든버러 대학의 앤드류 람보;W. 콜롬비아 대학의 이안 립킨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심각한 범위의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거대한 바이러스 군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심각한 질병은 중국에서 2003년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으로 나타났다. 2012년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메르스(MERS중동 호흡기 증후군)로 2차 발병이 발생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12월 31일 세계 보건 기구(WHO)에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는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변종이 발생했다고 경고했다. 이 바이러스는 이후 SARS-CoV-2로 명명됐다. 2020년 2월 20일 현재, 거의 167,500건의 COVID-19건이 기록되었으며, 더 많은 경미한 사례들이 진단되지 않은 것 같다. 그 바이러스는 6,600명 이상의 사람들을 죽였다.

이 전염병이 시작된 직후, 중국 과학자들은 사스-CO-2게놈의 서열을 분석했고 이 데이터를 전 세계 연구원들이 이용할 수 있게 했다. 그 결과로 나온 유전자 염기 서열 자료는 중국 당국이 급속하게 이 병을 발견하고 있으며, COVID-19환자의 수가 한번의 인간 간 감염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여러 다른 연구 기관의 앤더슨과 공동 연구자들은 이 염기 서열 분석 데이터를 사용하여 바이러스의 몇가지 텔 테일 특징에 초점을 맞춰 사스-CO-2의 기원과 진화를 조사했다.

과학자들은 바이러스의 외부에 있는 방어막인 스파이크 단백질을 위해 인간과 동물 세포의 외벽을 잡고 뚫기 위해 사용하는 유전자 형성판을 분석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그들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두가지 중요한 특징에 초점을 맞췄습니다:숙주 세포를 꽉 잡는 갈고리의 일종인 수용체 고정 도메인과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를 열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해 주는 분단기의 일종입니다.

자연 진화의 증거
과학자들은 SARS-CoV-2스파이크 단백질의 RBD부분이 혈압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수용체인 ACE2라고 불리는 인간 세포의 외부에 있는 분자 기능을 효과적으로 겨냥하도록 진화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사실 SARS-CoV-2스파이크 단백질은 인간 세포를 결합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어서 과학자들은 그것이 유전 공학의 산물이 아니라 자연 도태의 결과라고 결론 내렸다.


자연 진화에 대한 이 증거는 SARS-CoV-2의 백본, 즉 전체 분자 구조에 대한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만약 누군가가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를 병원 균으로 만들려고 한다면, 그들은 그것을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바이러스의 등뼈로 만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사스-이산화 탄소-2척추가 이미 알려진 코로나 바이러스의 등뼈와 상당히 다르며 박쥐와 팡돌린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관련 바이러스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앤더슨은 "이 바이러스의 두가지 특징인 스파이크 단백질의 RBD부분의 돌연변이와 그것의 뚜렷한 등뼈는 SARS-CoV-2의 잠재적 근원으로서 실험실 조작을 배제한다"고 말했다.
영국에 본사를 둔 웰스 트러스트의 전염병 선두 주자인 조시 골딩 박사는 앤더슨과 그의 동료들이 발견한 결과는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해 퍼지고 있는 소문들에 근거한 시각을 갖게 하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들은 이 바이러스가 자연적인 진화의 산물이라는 결론을 내립니다,"라고 Goulding은 덧붙인다,"고의적인 유전 공학에 대한 모든 추측을 종결시킵니다."


바이러스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원인
안데르센과 그의 공동 연구자들은 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을 바탕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SARS-CoV-2의 기원은 가능한 두가지 시나리오 중 하나라고 결론 내렸다.
한 시나리오에서, 이 바이러스는 인간이 아닌 숙주의 자연 도태를 통해 현재의 병원성 상태로 진화했고 인간에게 점프했다. 사스(SARS)나 낙타(메르스)에 직접 노출된 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서 이전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생한 것도 이 때문이다. 연구원들은 박쥐가 박쥐 코로나 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박쥐를 가장 가능성이 높은 생물 연료 저장소로 제안했다. 하지만, 박쥐와 인간 사이에 중간 숙주가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직접적인 박쥐 인간 전염의 기록된 사례는 없다.

이 시나리오에서, SARS-CoV-2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독특한 특징인 RBD부분과 바이러스를 여는 갈라짐 부위는 모두 인간이 되기 전의 현재 상태로 진화했을 것입니다. 이 경우, 이 바이러스가 이미 병원성을 만들고 사람들 사이에 퍼질 수 있는 특징들을 진화시켰을 것이기 때문에, 현재의 전염병은 아마도 인간이 감염되자마자 빠르게 출현했을 것이다.
제안된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비-질병 버전의 바이러스가 동물 숙주에서 인간으로 뛰어 올라 인간의 현재 병원성 상태로 진화했다. 예를 들어,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아르마딜로 같은 포유류인 판골린에서 나온 몇몇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스-코발트-2와 매우 유사한 RBD구조를 가지고 있다. 판골린에서 나온 코로나 바이러스는 직접적으로 또는 사향 고양이나 페렛 같은 중간 숙주를 통해 인간에게 전달되었을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갈라진 틈인 SARS-CoV-2의 다른 뚜렷한 스파이크 단백질 특징은 아마도 전염병이 시작되기 전에 인간 인구의 제한된 혈액 순환을 통해 인간 숙주 안에서 진화했을 수도 있다. 연구원들은 사스-이산화 탄소-2분단장이 사람들 사이에서 쉽게 전염되는 것으로 보여지는 조류 독감 변종들의 갈라진 장소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사스-CO-2는 인간 세포의 치명적인 분열 부위를 진화시켰을 수도 있고,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람들 사이에 훨씬 더 잘 퍼질 수 있게 되었을 것이기 때문에 곧 현재의 전염병을 촉발시켰을 것이다.

연구 공동 저자인 앤드류 램보는 어떤 시나리오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스-CO-2가 현재 동물원에서 병원체 형태로 인간에게 유입되면, 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변종이 여전히 동물 개체군에서 돌고 있을 수 있고, 다시 한번 인간에게로 튀어 오를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발병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인체에 유입된 비-질병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생 가능성은 낮으며, 그 다음에는 SARS-CoV-2와 유사한 성질을 진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를 위한 자금은 미국 국립 보건원, PewCharitableTrusts, WellcomeTrust, 유럽 연구 위원회, ARC호주 Laureate원정대가 제공했습니다.

 

 

반응형